상단영역

본문영역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및 안전관리 대책은?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및 안전관리 대책은?

  • 기자명 박선호 기자
  • 입력 2019.05.02 22:0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SS 안전강화방안과 ESS산업 생태계 육성방안을 6월초 발표 예정

[에너지코리아뉴스] 정부는 ESS 화재사고 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다중이용시설 및 별도 건물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장용 ESS에 대하여 가동중단 요청했다고 2일 밝혔다.

4월 30일 기준 총 1,490개 ESS 사업장 중 약 35%인 522개 가동중단했다. 나머지 사업장에 대해서는 안전운전을 위한 충전율 하향을 권고하였으며, 대부분의 사업장은 제조사별 안전강화조치 후 가동 중이다. 특히, 신재생 연계 ESS 사업장(778개) 중 약 95%인 740개 사업장(1,655MWh)은 가동 중에 있다.

지난 1월 13일 정부는 사고원인규명을 위해 전기, 배터리, 소방 등 분야별 전문가 19명으로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출범시켰다. 산업기술시험원을 조사위 지원센터로 지정하여 자료수집·분석 등 수행한다.

조사위원회는 화재사고 현장조사·기업면담, 데이터 분석·검토 등을 위해 매주 1회정기회의 및 수시회의와 워크숍 등 60여 차례 회의 개최했다. 사용·운전상의 전기적·환경적 요인, 설계·시공상 문제, 구성품(배터리, PCS)의 안전성 등 조사한다. 또한 지난 3월 12일에는 조사·분석 내용과 시험실증 방안에 대한 ESS 화재사고 관련 업계(설계시공, 배터리, PCS 등) 의견수렴을 위해 비공개 간담회 개최했다.

이이외에도 사고현장 조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사고원인 규명을 위해 21개 사고를 유형화하고, 업계의 의견도 반영하여 ESS 구성품과 시스템에 대한 실증 시험 중이다. 고창과 정읍 실증시험장에서 화재로 이어지는 결과가 발생하고,  실제 화재사고와 유사한 상황이 관측되어 정밀 조사·분석 중이다.

ESESS는 화재 발생 시 전소되는 특성이 있고, 다수의 기업과 제품이 관련되어, 사고원인을 과학적이고 투명하며 공정하게 규명하기 위해상당한 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다. 정부는 시험·실증 등을 조속히 완료하여 6월초 조사 결과를 발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규 ESS사업장에는 ESS 설치기준 개정, ESS KS표준 제정, ESS 구성품 KC인증 도입 등 생산과 설치 전반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할 방침이다. 해외 기준 등을 감안하여 개정안을 마련 중으로, 사고조사 발표 이후 최대한 신속하게 개정 절차 완료했으며, 현재 국제표준화기구(IEC)에서 ESS 안전 국제표준을 '20.2월목표로 논의 중이나, 국내의 시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국제표준안을 바탕으로 KS표준 5월말까지 제정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소용량 PCS와 휴대용 제품에 장착되는 배터리만 시행하고 있는 KC인증을 ESS용으로 확대하기 위해, 관련제도 정비를 8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다만, ESS 설치기준(전기설비 기술기준) 개정 前이라도 신규발주가 가능하도록 절차적 지원도 검토한다는 설명이다.

가동중단 사업장에 대해서, 정부는 5월초에 ESS 전문가, 구조물‧소방전문가, 업계 등으로 ‘ESS 안전관리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사고조사 발표이후 사업장별 특성에 따라 필요한 안전조치를 권고하고, 권고조치 이행 후 재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가동중인 사업장에 대해서 ‘ESS 안전관리위원회’가 사고 조사 결과에 따라 안전 보강조치를 권고하고, 행정지도 및 수시점검을 통해 이행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정부의 가동중지 권고를 이행한 ESS 사업장에 한하여 가동중단기간에 상응하는 특례요금 이월 또는 REC 추가지급 등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우리 ESS산업이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산업으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산업경쟁력 강화 및 보급 활성화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사고원인 조사결과와 함께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사고가 국민안전의 수준을 높이고, ESS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속 발전해나가는 계기가 되도록 사고원인조사를 최대한 조속히 완료하고 6월초 최종 조사결과 및 ESS 안전강화방안과 ESS 생태계 육성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코리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